Dreieck (삼각정)
       
     
 Dreieck (삼각정)건축에서 가구로의 변태하는 과정건축은 장소성, 공간성을 가지며, 반면에 가구는 이동성, 기능성을 그 특성으로 한다. 통상 파빌리온은 임시 건축물로서의 특성을 가지게 되지만, 반면 Dreieck는 일정시간동안 건축으로서 존재할 뿐만 아니라 그 후로는 Urban furniture로서 재정의되는 지속가능성을 가진다. 건축으로서의 파빌리온은 열리고 닫히는 세 개의 문을 통해 공간이 닫히거나 영역이 확장된다. 또한, 파빌리온을
       
     
 “Dreieck” is a project that shows the process of transformation from architecture to furniture. Architecture has a sense of place and space, whereas furniture has mobility and functionality.”Dreieck”, which begins in the form of a pavilion, is defin
       
     
 Each part of the pavilion is transformed into a bench, a kiosk, a table, or a light and scattered around Shinjinmal. In a specific urban and architectural context, these sculptures function as furniture and at the same time become devices reminiscen
       
     
DJI_0048_copy.jpg
       
     
KLF_1114_copy.jpg
       
     
KLF_1223_copy.jpg
       
     
KLF_0925.jpg
       
     
poster horizontal-01.jpg
       
     
Dreieck (삼각정)
       
     
Dreieck (삼각정)

2020

with KLIM-A

https://www.projectghidam.com/7b41b178-b956-4468-a922-0f1f4ccf63c1

 Dreieck (삼각정)건축에서 가구로의 변태하는 과정건축은 장소성, 공간성을 가지며, 반면에 가구는 이동성, 기능성을 그 특성으로 한다. 통상 파빌리온은 임시 건축물로서의 특성을 가지게 되지만, 반면 Dreieck는 일정시간동안 건축으로서 존재할 뿐만 아니라 그 후로는 Urban furniture로서 재정의되는 지속가능성을 가진다. 건축으로서의 파빌리온은 열리고 닫히는 세 개의 문을 통해 공간이 닫히거나 영역이 확장된다. 또한, 파빌리온을
       
     

Dreieck (삼각정)건축에서 가구로의 변태하는 과정건축은 장소성, 공간성을 가지며, 반면에 가구는 이동성, 기능성을 그 특성으로 한다. 통상 파빌리온은 임시 건축물로서의 특성을 가지게 되지만, 반면 Dreieck는 일정시간동안 건축으로서 존재할 뿐만 아니라 그 후로는 Urban furniture로서 재정의되는 지속가능성을 가진다. 건축으로서의 파빌리온은 열리고 닫히는 세 개의 문을 통해 공간이 닫히거나 영역이 확장된다. 또한, 파빌리온을 구성하는 각각의 부분들은 벤치, 키오스크, 테이블 또는 조명 등으로 변용되어 다시 사용된다. 특정한 도시적, 건축적 맥락 속에서 이 조각들은 가구로서 기능하며 그와 동시에 기존의 파빌리온을 연상케하는 트리거가 된다.

 “Dreieck” is a project that shows the process of transformation from architecture to furniture. Architecture has a sense of place and space, whereas furniture has mobility and functionality.”Dreieck”, which begins in the form of a pavilion, is defin
       
     

“Dreieck” is a project that shows the process of transformation from architecture to furniture. Architecture has a sense of place and space, whereas furniture has mobility and functionality.”Dreieck”, which begins in the form of a pavilion, is defined in form, direction and size from the urban context of the place. Usually pavilions have the characteristics of a temporary building, but “Dreieck” not only exists as a building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but also has sustainability redefined as urban furniture after that.

 Each part of the pavilion is transformed into a bench, a kiosk, a table, or a light and scattered around Shinjinmal. In a specific urban and architectural context, these sculptures function as furniture and at the same time become devices reminiscen
       
     

Each part of the pavilion is transformed into a bench, a kiosk, a table, or a light and scattered around Shinjinmal. In a specific urban and architectural context, these sculptures function as furniture and at the same time become devices reminiscent of existing pavilions. This building will become a memory that will not disappear from people's memories and will continue to change.

DJI_0048_copy.jpg
       
     
KLF_1114_copy.jpg
       
     
KLF_1223_copy.jpg
       
     
KLF_0925.jpg
       
     
poster horizontal-01.jpg